미국 물가: 관세 영향 상쇄한 유가·식료품 가격 안정

최근 미국 경제에서 물가 변동의 복합적인 양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관세 정책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유가와 식료품 가격의 안정세가 소비자들에게 일부 호재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 회복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Link_0

미국 인플레이션의 현재 상황은?

2025년 7월 미국의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2.7% 상승하여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노동부의 발표에 따르면,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물가는 3.1%로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상회하고 있습니다.

가스와 식료품 가격의 하락이 일부 수입 상품의 가격 상승을 상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월별로는 물가가 0.2% 상승하여 이전 달의 0.3%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를 흡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세가 기업과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은?

보스턴 대학의 경제학자 브라이언 베튠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율은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인 10%에 도달했습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부 기업들은 ‘수축 인플레이션’ 전략을 채택하여 제품 크기를 줄이면서 가격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세 비용으로 인해 신규 채용을 꺼리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경제학자들은 현재 관세 부담을 소비자(22%), 미국 기업(64%), 해외 제조업체(14%)가 분담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향후에는 소비자가 더 큰 부담을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대응 전략은?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인플레이션 악화로 인해 금리 인하를 보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와 충돌하는 상황을 만들고 있습니다.

봄철 채용 증가세 둔화로 인해 일부 경제학자들은 9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원 인플레이션이 2%를 상회하고 있어 Fed의 결정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계속해서 비판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지만, Fed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일부 중소기업들은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에 창의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류 브랜드 프린세스 어썸은 웹사이트에 ‘팁 박스’를 마련해 고객들로부터 비용 보전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대기업들도 점진적으로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습니다. 랄프로렌, 언더아머 같은 의류 브랜드와 워비 파커 같은 안경 회사들이 가격을 인상했으며, 프록터 앤드 갬블은 제품의 약 25%에 대해 가격을 올릴 계획입니다.

e.l.f. 뷰티와 같은 화장품 기업들도 중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가격을 1달러 인상하는 등 관세 비용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를 위한 실용적인 대응 가이드

관세와 인플레이션 시대에 현명한 소비를 위해서는 먼저 구매 전 가격을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가격 비교 도구를 활용하면 더 저렴한 대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할인 행사와 쿠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량 구매나 프라이빗 라벨 제품을 선택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개인 재정 계획을 재점검하고, 비상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동성이 큰 경제 상황에 대비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소비자 궁금증, 어떻게 대처할까?

Q1: 현재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1: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부동산, 금,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 등 실물 자산 중심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A2: 국내 생산 제품을 선호하고, 다양한 브랜드와 대체 상품을 비교해 구매하는 전략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 정확성을 위해 노력했으나 자문은 아닙니다. 필수 사안은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참고 : latimes.com

댓글 남기기